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Redmi Note 시리즈

덤프버전 : (♥ 0)

||
[ 펼치기 · 접기 ]

2014201520162017
3 Pro4X
201820192020
5 Pro8
2021
8 (2021)
2022
2023
12 Turbo
밑줄: 국내 출시 제품



1. 개요
2. 사양
2.1. Xiaomi Redmi Note 3G
2.2. Xiaomi Redmi Note 4G
2.3. Xiaomi Redmi Note 4G Duos
3. 상세
4. 개인정보 전송 논란 (클라우드 메시징 기본 활성화 논란)


1. 개요[편집]


Xiaomi가 2014년 3월에 공개한 Android 스마트폰이다.


2. 사양[편집]



2.1. Xiaomi Redmi Note 3G[편집]



프로
세서
1 GBMediaTek MT6592 SoC.
[ 구성 내용 확인 ]
CPUARM Cortex-A7 Octa-Core 1.4 GHz CPU
GPUARM Mali-450 Quad-Core 700 MHz GPU
NPU & DSP미탑재
Sensor Hub미탑재
통신 모뎀(파트넘버 불명) 내장
2 GBMediaTek MT6592 SoC.
[ 구성 내용 확인 ]
CPUARM Cortex-A7 Octa-Core 1.7 GHz CPU
GPUARM Mali-450 Quad-Core 700 MHz GPU
NPU & DSP미탑재
Sensor Hub미탑재
통신 모뎀(파트넘버 불명) 내장


1 GB1 GB LPDDR2 SDRAM8 GB eMMC -.- 규격 내장 메모리, micro SDHC (최대 32 GB 지원)
2 GB2 GB LPDDR2 SDRAM
디스플레이5.5인치 16:9 비율 HD(1280 x 720) IPS TFT-LCD (-- ppi)
[ 세부 정보 확인 ]
공급사
픽셀배열RGB 서브픽셀 방식
패널정보IPS TFT-LCD
부가정보최대 주사율 60 Hz

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
네트워크
[ 3G Network ]
기본지원없음
선택지원HSPA+ 21Mbps, HSDPA & HSUPA & UMTS
음성 통신 지원
TD-SCDMA
음성 통신 지원
[ 2G Network ]
기본지원GSM & EDGE
음성 통신 지원
선택지원없음
근접통신Wi-Fi 802.11b/g/n, 블루투스 4.0
위성항법GPS & A-GPS
카메라전면 500만 화소, 후면 1,300만 화소 AFLED 플래시
배터리Li-Ion 3200 mAh
운영체제안드로이드 4.2 (Jelly Bean) → 4.4 (KitKat)
MIUI V5 → 6[1] → 7 → 8 → 9
규격78.7 x 154 x 9.45 mm, 199 g
색상블랙, 화이트, 레드, 핑크, 민트, 스카이블루, 옐로우
단자정보USB 2.0 micro Type-B x 1, 3.5 mm 단자 x 1
듀얼심 지원
생체인식미지원
기타FM 라디오 지원



2.2. Xiaomi Redmi Note 4G[편집]



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 400 MSM8928 SoC.
[ 구성 내용 확인 ]
CPUARM Cortex-A7 Quad-Core 1.6 GHz CPU
GPU퀄컴 Adreno 305 400 MHz GPU
NPU & DSP퀄컴 Hexagon QDSP6 DSP
Sensor HubDSP 대체
통신 모뎀Qualcomm Gobi MDM9x25
메모리2 GB LPDDR3 SDRAM, 8 GB eMMC -.- 규격 내장 메모리, micro SDXC (규격상 2 TB, 64 GB 공식 지원)
디스
플레이
5.5인치 16:9 비율 HD(1280 x 720) IPS TFT-LCD (-- ppi)
[ 세부 정보 확인 ]
공급사
픽셀배열RGB 서브픽셀 방식
패널정보IPS TFT-LCD
부가정보최대 주사율 60 Hz

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
네트워크
[ 4G Network ]
기본지원LTE Cat.4 FDD & TDD
선택지원없음
[ 3G Network ]
기본지원TD-SCDMA
음성 통신 지원
선택지원없음
[ 2G Network ]
기본지원GSM & EDGE
음성 통신 지원
선택지원없음
근접통신Wi-Fi 802.11a/b/g/n/ac, 블루투스 4.0+LE
위성항법GPS & A-GPS, GLONASS, Beidou
카메라전면 500만 화소, 후면 1,300만 화소 AFLED 플래시
배터리Li-Polymer 3100 mAh
운영체제안드로이드 4.4 (KitKat)
MIUI V5 → 6 → 7 → 8 → 9
규격78.7 x 154 x 9.45 mm, -- g
단자정보USB 2.0 micro Type-B x 1, 3.5 mm 단자 x 1
생체인식미지원
기타



2.3. Xiaomi Redmi Note 4G Duos[편집]



프로세서퀄컴 스냅드래곤 410 MSM8916 SoC.
[ 구성 내용 확인 ]
CPUARM Cortex-A53 Quad-Core 1.2 GHz CPU
GPU퀄컴 Adreno 306 450 MHz GPU
NPU & DSP퀄컴 Hexagon QDSP6 V5 DSP
Sensor HubDSP 대체
통신 모뎀Qualcomm Gobi MDM9x25
메모리1 GB LPDDR3 SDRAM, 8 GB eMMC -.- 규격 내장 메모리micro SDHC (최대 32 GB 지원)
2 GB LPDDR3 SDRAM, 16 GB eMMC -.- 규격 내장 메모리
디스
플레이
5.5인치 16:9 비율 HD(1280 x 720) IPS TFT-LCD (-- ppi)
[ 세부 정보 확인 ]
공급사
픽셀배열RGB 서브픽셀 방식
패널정보IPS TFT-LCD
부가정보최대 주사율 60 Hz

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
네트워크
[ 4G Network ]
기본지원LTE Cat.4 FDD
선택지원LTE Cat.4 TDD
[ 3G Network ]
기본지원HSPA+ 42Mbps, HSDPA & HSUPA & UMTS
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
선택지원TD-SCDMA
음성 통신 지원
[ 2G Network ]
기본지원GSM & EDGE
음성 통신 지원
선택지원CDMA & EV-DO Rev. A
음성 통신 지원
근접통신Wi-Fi 802.11b/g/n, 블루투스 4.0
위성항법GPS & A-GPS
카메라전면 500만 화소, 후면 1,300만 화소 AFLED 플래시
배터리내장형 Li-Ion 3100 mAh
운영체제안드로이드 4.4 (KitKat)
MIUI 6 → 7 → 8 → 9
규격78.7 x 154 x 9.45 mm, -- g
단자정보USB 2.0 micro Type-B x 1, 3.5 mm 단자 x 1
듀얼심 지원
생체인식미지원
기타FM 라디오 지원



3. 상세[편집]


샤오미의 첫 번째 5.5인치 패블릿 스마트폰이다.

RAM 용량 별로 CPU 클럭이 다르다. 사용하는 모바일 AP는 미디어텍의 MT6592로 동일하나, 1 GB RAM 버전은 1.4 GHz로, 2 GB 버전은[2] 1.7 GHz로 돌아간다. 이는 ARM Cortex-A7옥타코어 구성으로 묶어서 버전 별로 클럭을 다르게 해 성능 차이를 보이려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.

2014년 8월, 4G 모델이 출시되었다. 2 GB 모델을 바탕으로 모바일 AP를 퀄컴 스냅드래곤 400 MSM8928로 변경한 것이 특징이다.

Redmi 2 발표 후 슬그머니 모바일 AP를 퀄컴 스냅드래곤 410 MSM8916으로 변경한 4G 듀얼 SIM 모델이 동일한 출고가인 799 위안으로 출시되었다. 이로인해 리비전을 총 3번이나 거친 보기 드문 기기가 되었다. 이후 모든 기종의 가격을 100 위안씩 낮추면서 8 GB 모델은 699 위안으로, 16 GB 모델이 799 위안으로 출고가가 책정되었으며 Redmi Note 2가 공개되자마자 단종되었다.


4. 개인정보 전송 논란 (클라우드 메시징 기본 활성화 논란)[편집]


2014년 7월, 샤오미가 개인정보를 북경에 있는 샤오미 서버로 전송한다는 의혹이 제기됐다. [3] 이후 보안 업체 F-Secure가 분석하여 Mi 클라우드에 로그인하지 않더라도 다음 정보들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했다. #

  • IMEI
  • 기기의 휴대전화 번호
  •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호들
  • 수신된 SMS들을 보낸 전화번호들[4]

이후 샤오미는 이에 대해 사과하고 문제를 해명하였다. # 이 문제는 샤오미가 MIUI 클라우드 메시징 서비스를 기본으로 활성화시켜 놓았기 때문에 생긴 문제다. 기능 자체는 다른 유사 서비스들도 다 가지고 있다. 다만 샤오미는 제대로 사용자에게 명시하고 동의를 받은 뒤 활성화하지 않고 자동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논란이 된 것이다. 샤오미는 MIUI 클라우드 메시징 서비스의 구현 방식에 대한 세부 정보도 설명하였으며 이 기능을 옵트인[5]으로 바꾸겠다고 약속하였다. F-Secure는 다시 점검하여 이러한 약속이 제대로 지켜졌음을 확인하였다. #

요약하자면 일부 와전된 것처럼 악의적인 백도어가 발각된 게 아니라, 클라우드 메시징 서비스가 기본으로 활성화되어 있어서 논란이 된 문제이다. 이후 이를 사용자가 직접 기능을 켜기 전엔 꺼져 있도록 바꿈으로써 해결하였다.

[1] 글로벌 모델만 실시.[2] Enhanced라는 네이밍을 붙여 팔았다.[3] #[4] "SMS"가 아니라 SMS를 보낸 "전화번호"임에 주의[5] 기본으로 비활성화되어 있고 사용자가 직접 활성화해야 작동함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4에서 가져왔습니다. 이전 역사 보러 가기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[ 펼치기 · 접기 ]
문서의 r574 (이전 역사)
문서의 r (이전 역사)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0-26 20:19:09에 나무위키 Redmi Note 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